-
세종대왕 나신 날,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이유 7가지생활 2025. 5. 15. 11:25
세종대왕 나신 날,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이유 7가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꼭 알아야 할 역사 속 특별한 날을 이야기해보려 해요.
바로바로!
세종대왕 나신 날이에요.
“세종대왕님 생신이 왜 중요한가요?”
궁금하셨다면 이 글을 꼭 끝까지 읽어주세요.
읽고 나면 스승의 날의 진짜 의미도 함께 알 수 있답니다.1. 세종대왕님은 언제 태어나셨을까요?
세종대왕님은 1397년 5월 15일, 서울에서 태어나셨어요.
지금으로부터 무려 600년도 훨씬 전 이야기죠.
음력으로는 4월 10일이에요.
그렇지만 지금 우리가 쓰는 달력 기준으로는 양력 5월 15일이죠.
그래서 매년 5월 15일이 되면 세종대왕 탄신일로 기념하고 있답니다.2. 왜 그날이 ‘스승의 날’일까요?
많은 분들이 “스승의 날이 왜 5월 15일일까?” 궁금하셨을 거예요.
그 이유는요,
바로 세종대왕님께서 모든 백성에게 글을 가르쳐주신 분이기 때문이에요.
예전에는 글을 아는 사람만 법도 알고, 세금도 내고, 나라 일을 알 수 있었어요.
그런데 세종대왕님은 백성이 글을 몰라서 억울한 일을 당하는 걸 너무 안타깝게 생각하셨어요.
그래서 쉬운 글자인 한글을 직접 만들어주신 거예요.
백성 모두가 읽고 쓰기를 배울 수 있게 된 거죠.
이처럼 백성에게 글을 가르친 스승 같은 임금님이기에,
그분이 태어난 날을 기념해서 스승의 날로 정했답니다.3. 세종대왕님, 어떤 분이셨을까요?
세종대왕은 조선의 제4대 임금님이에요.
하지만 그냥 왕이 아니라 ‘성군(聖君)’으로 불려요.
이 말은 지혜롭고 백성을 사랑하는 왕이라는 뜻이에요.
정치, 과학, 음악, 농사, 천문학까지!
그야말로 다방면에서 특별하셨답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업적은 바로 훈민정음 창제,
즉 한글을 만드신 것이에요.
이 밖에도
• 해시계(앙부일구)
• 물시계(자격루)
• 강우량 측정기(측우기)
• 농서(농사직설)
이런 것들을 만드셔서
백성들이 더 편리하게 살 수 있게 해주셨어요.4. 세종대왕님은 어디에서 태어나셨을까요?
세종대왕님은 서울 창덕궁에서 태어나셨어요.
성은 이, 이름은 도(祹)
그래서 어릴 때는 이도라고 불렸답니다.
세종은 왕이 되기 어려운 셋째 아들이었어요.
하지만 두 형이 왕의 자질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왕세자가 되어 결국 임금님이 되셨어요.5. 훈민정음, 왜 그렇게 특별할까요?
훈민정음은 세종대왕님이 1443년에 창제하고,
1446년에 반포한 백성을 위한 문자예요.
그 이름 뜻도 너무 감동이에요.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훈민정음은 가장 과학적인 문자라고 해요.
소리 나는 위치와 방법을 문자의 생김새로 나타냈기 때문에 배우기 쉽고, 쓰기도 쉬운 글자랍니다.
이런 문자를 가진 민족은 세계적으로도 드물어요.6. 세종대왕 탄신일에 어떤 걸 하면 좋을까요?
매년 5월 15일,
세종대왕 탄신일에는 그분의 업적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을 것 같아요.
아이들과 함께 한글을 만든 이야기 책을 읽거나,
세종대왕 동상이나 기념관을 찾아가는 것도 좋겠죠?
또는 주변 선생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는 것도 스승의 날을 기념하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7. 왜 지금 이 시점에서 더 중요할까요?
디지털 시대, AI 시대에도 한글은 가장 효율적인 문자로 인정받고 있어요.
세계 여러 언어를 다루는 연구자들도 “한글은 가장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문자다”라고 극찬하고 있어요.
이런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님의 생신을 가볍게 지나칠 수 없겠죠?
저희가 매일 쓰는 말과 글,
그 근원을 기억하는 날,
바로 세종대왕 나신 날이랍니다.
세종대왕님은 지금의 우리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분이에요.
그분의 생신을 기억하는 건 그냥 역사를 배우기 위한 게 아니에요.
자신의 뿌리를 기억하고,
말과 글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날이에요.
올해 5월 15일,
아이들과 함께 또는 혼자라도 세종대왕님께 감사하는 시간을 잠깐이라도 가져보면 어떨까요?
한글날의 모든 것: 의미, 유래, 역사 그리고 우리가 기념해야 하는 이유
한글날의 모든 것: 의미, 유래, 역사 그리고 우리가 기념해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기념일인 한글날에 대해 알아볼게요.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글에
in2in4.com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번 구속되면 끝? 구속 기간과 구속 취소 사유를 확인해보세요 (1) 2025.03.08 30만원 사면 1만 5천원 절약! 광역 서울사랑상품권 구매 전에 꼭 읽어보세요 (3) 2025.03.08 자취방 원룸에 최적화 된 미니 핸디청소기 추천! 보랄 BLDC 무선청소기 (0) 2025.02.02 겨울철 호흡기 감염병 주의하세요! 백일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독감 등 (3) 2025.02.02 겨울철 건강주의! 뇌졸중·심근경색증 원인과 초기 전구증상 꼭 기억하세요 (2) 2025.01.28